Computer Science 호기심

객체지향 프로그래밍

ash silver 2023. 5. 3. 16:20
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?
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  = Object Oriented Programming

: 프로그램 구현에 필요한 객체를 파악하고 각각 객체들의 역할이 무엇인지 정의 -> 상호작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

: 객체들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의 상호 작용을 표현하며 데이터를 객체로 취급해 객체 내부에 선언된 메서드를 활용하는 방식

http://www.incodom.kr/%EA%B0%9D%EC%B2%B4_%EC%A7%80%ED%96%A5

 

생물정보 전문위키, 인코덤

Wikipedia for Bioinformatics

www.incodom.kr

 

절차 지향 vs 객체 지향

절차 지향 : 프로그램을 기능 중심으로 바라봄

=> 어떤 기능을 어떤 순서로 처리?

-> 소형 프로그래밍 적합 (작은 기능 수반)

 

객체 지향 : 프로그램을 객체 중심으로 바라봄

=> 각각의 역할을 정의해 나가는 것에 초점

-> 대형 프로그래밍 적합(많은 기능을 수반)

 

 
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

1. 추상화(abstraction)

: 핵심적인 개념 또는 기능을 간추려내는 것

ex )

애쉬실버의 특징 => 여자, 키 158, 몸무게 45kg(되고싶음), 투썸 알바 중, 스무디킹 알바 중, 맥북(갖고 싶음)

추상화가 된 애쉬실버의 특징 => 여자, 멋진 몸매, 알바 중 으로 더 간추려서 나타낼 수 있음

 

2. 캡슐화(encapsulation)

: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하나로 묶고 일부를 외부에 감춰 은닉함

-> 실제로 구현되는 부분을 외부에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정보를 은닉

-> 코드가 묶여있음

 

3. 상속성(inheritance)

: 상위 클래스의 특성을 하위 클래스가 이어 받아 재사용 하거나 추가, 확장

-> 하나의 클래스가 가진 특징을 다른 클래스가 그대로 물려받음

 

4. 다형성(polymorphism)

: 하나의 메서드나 클래스가 다양한 방법으로 동작 (ex> 오버로딩, 오버라이딩)

오버로딩 : 같은 이름을 가진 메서드가 여러 개(매서드의 타입, 매개변수 유형, 개수 등으로 구분)

오버라이딩 : 상위 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은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가 재정의

 

*5. 동적바인딩(dynamic binding)

: 가상 함수를 호출하는 코드를 컴파일할 때, 바인딩을 실행시간에 결정

 

 

설계 원칙 == <SOLID 원칙>

1. SRP

단일 책임 원칙(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) : 모든 클래스는 각각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함.

 

2. OCP

개방-폐쇄 원칙(open closed principle) : 유지 보수 사항이 생긴다면 코드를 쉽게 확장, 수정할 때는 닫혀 있어야 하는 원칙

 

3. LSP

리스코프 치환 원칙(liskov substitution principle) : 프로그램의 객체는 정확성을 개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함.

 

4. ISP

인터페이스 분리 원칙(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) : 하나의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보다 구체적인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를 만드러야 하는 원칙

 

5. DIP

의존 역전 원칙(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) : 자신보다 변하기 쉬운 것에 의존하던 것을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나 상위 클래스를 두어 변하기 쉬운 것의 변화에 영향 받지 않게 하는 원칙